728x90
728x170
004. 데이터 입력
1. 데이터 입력의 개념
- 워드프로세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 영문이나 한글 입력 외에 키보드에 없는 한자, 특수문자 등도 입력할 수 있음.
2. 한글 및 영문 입력
- [한/영] 키를 눌러 한글 입력과 영문 입력을 전환함.
- 한글은 2벌식이나 3벌식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함.
- 2벌식은 받침에 상관없이 글자를 풀어서 입력하고, 3벌식은 초성,중성,종성을 구분하여 입력함.
- 영문의 대/소문자는 [CapsLock] 이나 [Shift]를 이용하여 입력함.
- [CapsLock]이 활성화된(On) 상태에서 영문을 입력하면 대문자가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Shift]를 누른 채 입력하면 소문자가 입력됨.
- 한영 전환키
- 한글과 영문을 전환하려면 워드프로세서에 따라 [한/영], 왼쪽 [Shift] + [Spacebar], 오른쪽 [Alt] 등을 사용함.
3. 한자 입력
- 한자는 한자 목록이나 한자 사전에서 선택하여 입력함.
- 문서 전체 또는 일부분을 블록으로 지정하여 한 번에 변환할 수 있음.
- 한자 사전에 없는 단어나 자주 쓰는 한자 단어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음.
- 키보드에 없는 한자를 입력할 경우, 음을 알고 있을 때와 음을 모르고 있을 때 입력 하는 방법이 서로 다름.
한자음을 알고 있을 때의 방법 | - 음절 단위 변환 : 한 글자씩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눌러 한자로 변환 - 단어 단위 변환 : 한 단어를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눌러 한 번에 한자로 변환하는 것으로, 한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만 변환이 가능함. - 문장 자동 변환 : 범위를 지정한 후, [한자]를 눌러 선택한 문장 전체를 한자 사전과 비교하여 차례대로 한자로 변환하며, 문장을 자동 변환할 때 특정 단어에 대한 동음이의어가 있으면 해당 한자를 선택해줘야 함. |
한자음을 모르고 있을 때의 방법 | - 부수 입력 변환 : 한자 사전을 찾는 것처럼 부수와 획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함. - 외자 입력 변환 : 각각의 한자에 코드 값을 부여해 놓은 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함. - 2스트로크(Stroke) 변환 : 한글 두 글자를 이용하여 예약된 한자 한 글자를 입력하는 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4. 특수문자 입력
키보드에 없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마다 사용법이 다름.
- 특수문자 배열표(문자표)에서 해당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함.
-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거나, 한글 Windows 7의 '문자표'를 이용하여 입력함.
내용 출처 : 2020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필기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Certificate > Word Process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8. 편집 기능 - 기본 편집 기능 (0) | 2021.03.08 |
---|---|
007. 표시 기능 (0) | 2021.03.08 |
006. 입력 및 저장 관련 용어 (0) | 2021.03.08 |
005. 저장 기능 (0) | 2021.03.07 |
003. 한글 코드 (0) | 2021.03.07 |
002. 키보드 키의 기능 (0) | 2021.03.07 |
001. 워드프로세서의 기본 지식 (0) | 2021.03.07 |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1급 시험 개요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