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003. 한글 코드
1. 한글 코드
- 한글 코드는 영문만 사용할 수 있었던 컴퓨터에서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문자를 코드화하여 저장한 것
- 완성형 코드 와 조합형 코드 그리고 유니코드가 사용되고 있음.
구분 | KS X 1001 완성형 한글 코드 | KS X 1001 조합형 한글 코드 | KS X 1005-1 (유니코드) |
구성 원리 |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만들어 놓고 코드 값을 지정하는 방식 | 한글 창제의 원리인 초성, 중성, 종성에 코드값을 지정하는 방식 | 완성형 코드에 조합형 코드를 반영하여 개발 |
표현 글자 수 | - 한글 : 2,350자 - 한자 : 4,888자 - 특수문자 : 1,128자 - 사용자 정의 : 188자 - 미지정 문자 : 282자 |
- 초성 19자, 중성 21자, 종성 27자 - 한글 11,172자 |
- 완성형 한글 : 11,172자 - 한글 자모 240자 |
표현 바이트 수 | 영문/숫자 1바이트(8비트), 한글/한자 2바이트(16비트) | 모든 문자 2바이트(16비트) *공백과 부호(따옴표 등) 포함 |
|
장점 | - 외국 소프트웨어의 한글화가 쉬움. -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없음. |
- 현대 한글 대부분을 표현할 수 있음. | - 외국 소프트웨어의 한글화가 쉽고, 한글을 모두 가나다 순으로 정렬함. - 완성형과 조합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음. - 전세계 모든 문자의 표현이 가능함. |
단점 | - 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문자는 사용할 수 없음. - 기억공간을 많이 차지함. |
-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함. | - 기억 공간을 많이 차지함. |
용도 | 정보 교환용 | 정보 처리용 | - 국제 표준 코드 - 정보 처리/정보 교환 |
(참고) 조합형과 완성형의 차이
- 조합형 한글의 판별
- 조합형 코드는 초성, 중성, 종성에 각각 5비트를 사용하여 코드화한 것을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를 표현함.
- 한글 표현에 사용되는 2바이트, 즉 16비트 중에서 초성, 중성, 종성에 15비트를 사용하고 나머지 1비트는 한글/영문 판별에 사용함.
- 한글 판별 비트가 1이면 한글, 0이면 영문
- 조합형과 완성형의 차이
- 조합형은 자소(자음, 모음)별로, 완성형은 음절(글자) 단위로 코드를 부여함.
- 예) 워드를 표현할 경우
- 조합형
- ㅇ,ㅜ,ㅓ,ㄷ,ㅡ 각각에 코드를 부여한 후 이것을 조합하여 '워드' 표현
- '워드' 뿐만 아니라, '우, 두, 어, 더, 으, 욷, 드, 동, 엉, 덩' 등 많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음.
- 초성, 중성, 종성에만 코드를 부여한 후 글자를 표현하기 때문에 기억 용량을 적게 차지함.
- 완성형
- 완성된 글자 '워'와 '드'에 코드를 부여하므로 '워드' 두 글자만 표현할 수 있음.
- 모든 글자에 코드를 부여해야 하므로 기억 용량을 많이 차지함.
- 코드를 부여하지 않은 글자는 사용할 수 없음.
내용 출처 : 2020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필기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Certificate > Word Process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8. 편집 기능 - 기본 편집 기능 (0) | 2021.03.08 |
---|---|
007. 표시 기능 (0) | 2021.03.08 |
006. 입력 및 저장 관련 용어 (0) | 2021.03.08 |
005. 저장 기능 (0) | 2021.03.07 |
004. 데이터 입력 (0) | 2021.03.07 |
002. 키보드 키의 기능 (0) | 2021.03.07 |
001. 워드프로세서의 기본 지식 (0) | 2021.03.07 |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1급 시험 개요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