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05. 인터페이스 구현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 개발할 시스템과 외부 시스템을 연동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술한 것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의 구성 요소
- 인터페이스 이름
- 연계 대상 시스템
- 연계 범위 및 내용
- 연계 방식
- 송신 데이터
- 인터페이스 주기
- 기타 고려사항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 요구사항을 분류하고 구체적으로 명세한 후, 이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기법을 적절히 이용한다.
- 요구사항의 분해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수준으로 세분화한다.
- 요구사항 분석 시 누락된 요구사항이나 제한 조건을 추가한다.
- 요구사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절차
- 시스템 인터페이스 관련 요구사하을 선별하여 별도로 요구사항 목록을 만든다.
- 요구사항과 관련된 자료를 준비한다.
- 기능적인 요구사항과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으로 분류한다.
-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 명세서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한다.
- 추가·수정한 요구사항 명세서와 요구사항 목록을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한다.
(2)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요구사항 명세서에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검토하고 개발 범위의 기준인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것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수행 순서
요구사항 검토 계획 수립 | 검토 기준 및 방법, 참여자, 체크리스트, 관련 자료, 일정 등의 검토 계획 수립 |
↓ | |
검토 및 오류 수정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검토 및 오류 목록과 시정 조치서 작성 |
↓ | |
베이스라인 설정 | 검증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승인받은 후, 요구사항 명세서의 베이스라인 설정 |
요구사항 검증 방법
- 요구사항 검토(Requirements Review) : 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 확인 및 표준 준수 여부 등의 결함 여부를 검토 담당자들이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방법
동료 검토 (Peer Review)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명세서 내용을 직접 설명하고 동료들이 이를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
워크스루 (Work Through) |
검토 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에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
인스펙션 (Inspection)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요구사항 명세서를 확인하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
-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견본품(Prototype)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한다.
- 테스트 설계 : 요구사항은 테스트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테이스 케이스를 생성하여 요구사항이 현실적으로 테스트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 CASE 도구 활용 : 일관성 분석(Consistency Analysis)을 통해 요구사항 변경사항의 추적, 분석, 관리, 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의 주요 항목
- 완전성(Completeness) : 사용자의 모든 요구사항이 누락되지 않고 완전하게 반영되어 있는가?
- 일관성(Consistency) : 요구사항이 모순되거나 충돌되는 점 없이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 명확성(Unambiguity) : 모든 참여자가 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가?
- 기능성(Functionality) : 요구사항이 '어떻게(How to)' 보다 '무엇을(What)'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 검증 가능성(Verifiability) : 요구사항이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하고,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가?
- 추적 가능성(Traceability) : 요구사항 명세서와 설계서를 추적할 수 있는가?
- 변경 용이성(Easily Changeable) : 요구사항 명세서의 변경이 쉽도록 작성되었는가?
(3)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 인터페이스별로 인터페이스에 참여하는 시스템들을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는 것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을 위한 선행 작업
- 개발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이와 연결할 내·외부 시스템의 상세 식별 정보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한다.
- 내·외부 시스템 환경 및 관리 주체 식별
- 내·외부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과 하드웨어 관리 주체를 확인한다.
- 내·외부 시스템 환경 : 연계할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Port 정보 등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
- 내·외부 시스템 관리 주체 : 하드웨어 관리 담당자
- 내·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정보 식별 : 내·외부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로그인 및 DB 정보 등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
- 인터페이스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외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목록을 작성한다.
(4) 송·수신 데이터 식별
식별 대상 데이터
-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로, 규격화된 표준 형식에 따라 전송된다.
- 교환되는 데이터의 종류
- 인터페이스 표준 목록
- 송·수신 데이터 항목
- 공통 코드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송·수신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표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은 시스템 공통부와 거래 공통부로 나뉜다.
시스템 공통부 | - 시스템 간 연동 시 필요한 공통 정보 - 구성 정보 : 인터페이스 ID, 전송 시스템 정보, 서비스 코드 정보, 응답 결과 정보, 장애 정보 등 |
거래 공통부 | - 시스템들이 연동된 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필요한 정보 - 구성 정보 : 직원 정보, 승인자 정보, 기기 정보, 매체 정보 등 |
송·수신 데이터 항목
- 송·수신 시스템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
- 전송되는 데이터 항목과 순서는 인터베이스별로 다르다.
공통 코드
- 시스템들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
- 연계 시스템이나 연계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태 및 오류 코드 등의 항목에 대해 코드값과 코드명, 코드 설명 등을 공통 코드로 관리한다.
정보 흐름 식별
- 정보 흐름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들의 방향성을 식별한다.
-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인터페이스 목록을 확인하여 정보 흐름을 식별한다.
- 식별한 정보 흐름을 기반으로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주요 데이터 항목이나 정보 그룹을 도출한다.
송·수신 데이터 식별
- 송·수신 데이터는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외부 시스템 사이의 정보 흐름과 데이터베이스 산출물을 기반으로 식별한다.
- 송·수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식별한다.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과 송·수신 데이터 항목 식별 : 송·수신 시스템 사이의 교환 범위를 확인하고,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에 대해 송·수신 데이터 항목을 식별한다.
- 코드성 데이터 항목 식별 : 코드성 데이터 항목에 대해 코드, 코드명, 코드 설명 등의 코드 정보를 식별한다.
(5)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
- 내외부 시스템이 연계하여 작동할 때, 인터페이스별 송수신 방법, 송수신의 데이터,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문서로 정리하는 것
- 송수신 방법 명세화 :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연계 방식, 통신 및 처리 유형, 발생 주기 등의 송수신 방법을 정의하고 명세를 작성하는 것
- 송수신 데이터 명세화 :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인터페이스 시 필요한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명세를 작성하는 것
-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명세화 : 내외부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인터페이스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식별하고, 오류 처리 방안에 대한 명세를 작성하는 것
- 인터페이스별로 송수신 방법을 명세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 시스템 연계 기술
-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 처리 유형
- 발생 주기
시스템 연계 기술
기술 | 내용 |
DB Link | DB에서 제공하는 DB Link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 |
API / 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
연계 솔루션 | EAI 서버와 송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Client)를 이용하는 방식 |
Socket | 서버가 통신을 위한 소켓(Socket)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기술 |
Web Service | 웹 서비스(Web Service)에서 WSDL, UDDI,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계하는 서비스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송수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송수신 처리 및 진행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유형 | 내용 |
단방향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만 하고 응답이 없는 방식 |
동기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응답이 올 때까지 대기(Request-Reply)하는 방식 |
비동기 |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 응답이 오면 처리하는 방식(Send-Receive, Send-Receive-Acknowledge, Publish-Subscribe) |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유형 | 내용 |
실시간 방식 |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을 바로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하는 방식 |
지연 처리 방식 | 데이터를 매건 단위로 처리할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할 때 사용하는 방식 |
배치 방식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방식 |
인터페이스 발생 주기
-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간 송수신 데이터가 전송되어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주기
- 업무의 성격과 송수신 데이터 전송량을 고려하여 매일, 수시, 주 1회 등으로 구분한다.
(6) 미들웨어 솔루션
미들웨어(Middleware)
-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에 일관성을 보장한다.
- 미들웨어의 종류
- DB(DataBase)
- RPC(Remote Procedure Call)
- MOM(Message Oriented Middleware)
- TP-Monitor(Transaction Processing Monitor)
- ORB(Object Request Broker)
- WAS(Web Application Server)
DB
- 데이터베이스 벤더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는 미들웨어
- DB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보통 2-Tier 아키텍처라고 한다.
RPC(원격 프로시저 호출)
- 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원격 프로시저를 마치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하는 미들웨어
MOM(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 메시지 기반의 비동기형 메시지를 전달하는 미들웨어
- 온라인 업무보다는 이기종 분산 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 동기를 위해 많이 사용된다.
TP-Monitor(트랜잭션 처리 모니터)
- 온라인 트랜잭션 업무에서 트랜잭션을 처리 및 감시하는 미들웨어
- 항공기나 철도 예약 업무 등 사용자 수가 증가해도 빠른 응답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 업무에 주로 사용된다.
ORB(객체 요청 브로커)
- 코바(CORBA) 표준 스펙을 구현한 객체 지향 미들웨어
- 최근에는 TP-Monitor의 장점인 트랜잭션 처리와 모니터링 등을 추가로 구현한 제품도 있다.
WAS(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하는 동적인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
- 클라이언트/서버 환경보다는 웹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미들웨어
- HTTP 세션 처리를 위한 웹 서버 기능뿐만 아니라 미션-크리티컬한 기업 업무까지 Java, EJB 컴포넌트 기반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7)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 공통 기능 : 모듈의 기능 중에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
- 데이터 인터페이스 : 모듈 간 교환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파라미터
-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절차
- ①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해 모듈별 기능을 확인한다.
- ②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설계서
-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교환 데이터 및 관련 업무, 송수신 시스템 등에 대한 내용을 정의한 문서
- 인터페이스 설계서 종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서 |
-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목록,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 - 종류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
정적·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 정적·동적 모형으로 각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만든 문서 -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 간의 트랜잭션을 통해 해당 인터페이스가 시스템의 어느 부분에 속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트랜잭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음. |
인터페이스 설계서별 모듈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 설계서별 모듈 기능은 인터페이스 설계서에서 정의한 모듈을 기반으로 각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구분 | 외부 모듈 | 내부 모듈 |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 송신 및 전달 부분 | 수신 부분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 데이터 송신 시스템 부분 | 데이터 수신 시스템 부분 |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명세서 | 오퍼레이션, 사전 조건 | 사후 조건 |
정적·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인터페이스 영역 |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항목 | 내용 |
공통 기능 | 내외부 모듈 기능을 통해 공통으로 제공되는 기능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 | 내외부 모듈 기능과 공통 기능을 기반으로 필요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 확인 |
(8)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모듈 연계
-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또는 내부 모듈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관계를 설정하는 것
- 대표적인 모듈 연계 방법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ESB(Enterprise Service Bus)
- 웹 서비스(Web Service)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
- EAI의 구축 유형
유형 | 기능 | 모형 |
Point-to-Point | - 가장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식 - 애플리케이션을 1:1로 연결함. - 변경 및 재사용이 어려움. |
|
Hub & Spoke | - 단일 접점인 허브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 - 확장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함. - 허브 장애 발생 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침. |
|
Message Bus (ESB 방식) |
-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 -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용량 처리가 가능함. |
|
Hybrid | - Hub & Spoke 와 Message Bus 의 혼합 방식 - 그룹 내에서는 Hub & Spoke 방식을, 그룹 간에는 Message Bus 방식을 사용함. - 필요한 경우 한 가지 방식으로 EAI 구현이 가능함. - 데이터 병목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 |
ESB(Enterprise Service Bus)
-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 데이터 변환, 웹 서비스 지원 등 표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 애플리케이션 통합 측면에서 EAI와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통합을 지향한다.
- 특정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도(Coupling)를 약하게(Loosely) 유지한다.
- 관리 및 보안 유지가 쉽다.
- 높은 수준의 품질 지원이 가능하다.
웹 서비스(Web Service)
- 네트워크 정보를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만들어 공유하는 기술
- 웹 서비스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개념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
- 웹 서비스의 구성
SOAP | HTTP, HTTPS, SMTP 등을 활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 |
UDDI | WSDL을 등록하여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고 접근하는데 사용됨. |
WSDL | 웹 서비스명, 서비스 제공 위치, 프로토콜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XML 형식으로 구현함. |
모듈 간 연계 기능 식별
- 모듈 간 연계 기능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시나리오 형태로 구체화하여 식별한다.
- 식별된 연계 기능은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모듈 간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 모듈 간 인터페이스 기능은 식별된 모듈 간 관련 기능을 검토하여 인터페이스 동작에 필요한 기능을 식별한다.
- 외부 및 인터페이스 모듈 간 동작하는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한다.
- 해당 업무에 대한 시나리오를 통해 내부 모듈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한다.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 중에서 실제적으로 필요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최종적으로 선별한다.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은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9)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 모듈 간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표준화하는 것
- 기존의 데이터 중에서 공통 영역을 추출하거나 어느 한쪽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정의한다.
- 확인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은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데이터 표준을 위해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출력값의 의미와 데이터의 특성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함. |
↓ | |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 데이터 표준을 위해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확인함. |
↓ | |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확인된 데이터 표준과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 항목들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인함. |
(10)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의 정의
-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기능에 대한 구현 방법을 기능별로 기술하는 것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절차
컴포넌트 명세서 확인 | - 컴포넌트의 개요, 내부 클래스의 클래스명과 설명 등을 통해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주요 기능을 확인함. -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통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확인함. |
↓ | |
인터페이스 명세서 확인 | 컴포넌트 명세서의 인터페이스 클래스에 명시된 인터페이스 세부 조건 및 기능을 확인함. |
↓ | |
일관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
- 인터페이스의 기능,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표준, 모듈 세부 설계서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기능 구현을 정의함. - 정의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에 대해 송수신 측에서 진행해야 할 절차까지 다시 세부적으로 정의함. |
↓ | |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형화 |
정의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존적이지 않게 사람들이 보기 쉽고 표준화 되도록 정형화함. |
모듈 세부 설계서
- 모듈의 구성 요소와 세부적인 동작 등을 정의한 설계서
- 모듈 세부 설계서의 종류
컴포넌트 명세서 | 컴포넌트의 개요 및 내부 클래스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명세 등을 정의한 것 |
인터페이스 명세서 | 컴포넌트 명세서의 항목 중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세부 조건 및 기능 등을 정의한 것 |
(11) 인터페이스 구현
인터페이스 구현
- 송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실현해 주는 작업
-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 데이터와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데이터 포맷을 인터페이스 대상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 측에서 파싱(Parsing)하여 해석하는 방식
- 주로 JSON이나 XML 형식의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예) JSON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 ① 송신 측에서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할 데이터를 각 시스템 환경에 맞게 선택한다.
- ② JSON을 이용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객체로 만든다.
- ③ 인터페이스 객체를 AJA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수신 측으로 보낸다.
- ④ 수신 측에서 인터페이스 객체를 수신해 파싱한 후 처리한다.
- ⑤ 수신 측에서 송신 측으로 처리 결과를 보낸다.
- 예) JSON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시스템 사이에 별도의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두어 상호 연계하는 것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엔티티로 활용한다.
- 예)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 ① 송신 측에서 인터페이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Write)
- ② 송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한다.
- ③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읽는다. (Read)
- ④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읽은 후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 예)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 웹과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용량이 적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데이터 객체를 속성·값의 쌍(Attribute-Value Pairs) 형태로 표현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AJAX에서 XML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자바 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서버 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 받는 비동기 통신 기술
-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웹 페이지 일부 영역만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12)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구현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방법
-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방법
-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방법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객체의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각 예외 케이스마다 예외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 JSON, XML 등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해 구현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해당 엔티티에 인터페이스 실패 상황과 원인 등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및 관리자에서 알려주는 방식으로 예외 처리 방법을 정의한다.
(13) 인터페이스 보안
인터페이스 보안
- 인터페이스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인터페이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한 후, 적절한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것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적용한다.
네트워크 영역 | - 인터페이스 송수신 간 스니핑(Sniffing) 등을 이용한 데이터 탈취 및 변조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암호화를 설정함. - 암호화는 인터페이스 아키텍처에 따라 IPSec, SSL, S-HTTP 등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함. |
애플리케이션 영역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코드 상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능을 적용함. |
데이터베이스 영역 |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엔티티의 접근 권한과 프로지저(Procedure), 트리거(Trigger) 등 데이터베이스 동작 객체의 보안 취약점에 보안 기능을 적용함. - 개인 정보나 업무상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암호화나 익명화 등 데이터 자체의 보안 방안도 고려함. |
*IPSec(IP Security) :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패킷 단위의 데이터 변조 방지 및 은닉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SSL(Secure Sockets Layer) : TCP/IP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이에서 인증, 암호화, 무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S-HTTP(Secur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전송되는 모든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
-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 시스템 파일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고, 파일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 종류 : Tripwire, AIDE, Samhain, Claymore, Slipwire, Fcheck 등
(14)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 인터페이스 구현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과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테스트가 필요하다.
- 통합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테스트 자동화 도구
도구 | 기능 |
xUnit | Java(Junit), C++(Cppunit), .Net(Nuni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
STAF | - 서비스 호출 및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 크로스 플랫폼이나 분산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 - 분산 소프트웨어의 경우 각 분산 환경에 설치된 데몬이 프로그램 테스트에 대한 응답을 대신하며, 테스트가 완료되면 이를 통합하고 자동화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함. |
FitNesse | 웹 기반 테스트 케이스 설계, 실행, 결과 확인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
NTAF | FitNesse의 장점인 협업 기능과 STAF의 장점인 재사용 및 확장성을 통합한 NHN(Naver)의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
Selenium | 다양한 브라우저 및 개발 언어를 지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
watir | Ruby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도구
- 인터페이스 동작 상태는 APM(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을 사용하여 감시(Monitoring)할 수 있다.
- APM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변수값, 호출 함수, 로그 및 시스템 부하 등 종합적인 정보를 조회하고 분석할 수 있다.
- 대표적인 APM
스카우터(Scouter) | 애플리케이션 및 OS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APM 소프트웨어 |
제니퍼(Jennifer) |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테스트, 오픈, 운영, 안정화까지 전 단계에 걸쳐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주는 소프트웨어 |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Monitoring)
-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관리를 위해 접속자, 자원 현황, 트랜잭션 수행 내역, 장애 진단 등 다양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
- 리소스 방식과 엔드투엔드(End-to-End)의 2가지 유형이 있다.
리소스 방식 | Nagios, Zabbix, Cacti 등 |
엔드투엔드 방식 | VisualVM, 제니퍼, 스카우터 등 |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Certificate > D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09. 소프트웨어 보안 구축 (0) | 2022.03.03 |
---|---|
[정보처리기사 실기] 08. SQL 응용 (0) | 2022.03.02 |
[정보처리기사 실기] 0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2) | 2022.02.28 |
[정보처리기사 실기] 06. 화면 설계 (0) | 2022.02.28 |
[정보처리기사 실기] 04. 서버 프로그램 구현 (0) | 2022.02.27 |
[정보처리기사 실기] 03. 통합 구현 (0) | 2022.02.26 |
[정보처리기사 실기] 02. 데이터 입·출력 구현 (4) | 2022.02.25 |
[정보처리기사 실기] 01. 요구사항 확인 (5) | 2022.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