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mke2fs
-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
- 최근 리눅스 배포판에서 mkfs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되는 명령어
-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됨.
사용법
# mke2fs [option] 장치명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j | 저널링(Journaling) 파일 시스템인 ext3로 만듦. |
-t fs_type | -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 - ext3, ext4 등으로 지정하면 됨. |
-b block_size | - 블록 사이즈를 지정하는 옵션 - 1024, 2048, 4096으로 지정할 수 있음. |
-R raid_options | - RAID 관련 옵션 - -R 다음에 argument=값 형태로 지정 |
-T usage_Type | - I-node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 - RHEL 4까지는 fs_type에 news, largefile, largefile4를 지정할 수 있음. - I-node의 크기 ▶ news : 4k ▶ largefile : 1M ▶ largefile4 : 4M - RHEL 5에서는 /etc/mke2fs.conf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 |
사용 예
예 1
- /dev/sdb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3로 생성
# mke2fs -j /dev/sdb1
예 2
- /dev/sdc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생성
# mke2fs -t ext4 /dev/sdc1
예 3
- RAID 장치인 /dev/md0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고, 블록 사이즈를 4096 바이트로 설정함.
- 추가로 stripe 당 블록 사이즈를 32 바이트로 설정함.
# mke2fs -j -b 4096 -R stride=32 /dev/md0
예 4
- /dev/hda7을 ext3로 만들고, I-node의 크기를 1MB로 지정
# mke2fs -j -T largefile /dev/hda7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System Softwar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du (0) | 2022.03.08 |
---|---|
[리눅스 명령어] df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e2fsck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fsck (fsck.ext2, fsck.ext3, fsck.ext4, fsck.xfs)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mkfs (mkfs.ext2, mkfs.ext3, mkfs.ext4)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fdisk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mount / umount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umask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