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mount
- '오르다' 또는 '어떠한 장비를 설치하다(탑재하다).' 라는 뜻
- 리눅스에서는 보조기억장치(HDD, FDD, CD-ROM 등)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 /의 하위 디렉터리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
- 특정한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현재 마운트된 장치나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법
#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a | /etc/fstab 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옵션 |
-t fs_type | - 파일 시스템의 유형(Type)을 지정하는 옵션 - 지정하지 않으면 /etc/fstab 파일을 참조함. |
-o 항목 | - 마운트할 때 추가적인 설정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 - 다수의 조건을 적용할 때는 콤마(,)로 구분하면 됨. |
주요 파일 시스템의 유형(fs_type)
유형 | 설명 |
msdos | MS-DOS의 파일 시스템인 FAT-16을 마운트할 때 지정 |
vfat | MS 사의 파일 시스템인 FAT-32를 마운트할 때 지정 |
ntfs | MS 사의 윈도우 NT, 2000, XP 이후 버전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지정 |
ext2, ext3, ext4 |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지정 |
xfs | xfs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지정 |
iso9660 | CD-ROM이나 DVD를 마운트할 때 지정 |
smbfs |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인 삼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지정 - 최근 배포판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
cifs | 삼바 파일 시스템이 확장된 파일 시스템 |
nfs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인 NFS로 공유된 영역을 마운트할 때 지정 |
udf | - DVD 파일 시스템 - 대부분의 배포판 리눅스에서 iso9660으로 지정해도 마운트할 수 있음. |
-o의 주요 항목
유형 | 설명 |
ro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
r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음.) |
remount | - 해당 파티션을 다시 마운트함. - 파티션 정보를 바꾸었을 때 사용 |
loop | - loop 디바이스로 마운트할 때 사용 - CD-ROM 이미지 파일인 iso를 마운트해서 사용할 때 사용 |
noatime | - 파일의 내용을 읽게 되면 Access Time이 변경되는데,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이 변경되기 전까지는 Access Time이 변경되지 않음. -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의 작업을 줄여 성능이 향상됨. - 노트북에서 사용하면 디스크 접근에 따른 배터리 시간을 늘려줌. |
username=사용자명 | 삼바처럼 사용자 계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명을 입력함. |
password=암호 | - 보통 username과 같이 사용됨. -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함. |
acl | ext3 파일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를 사용 가능하도록 마운트할 때 사용 |
주요 디바이스 파일명
항목 | 설명 |
FDD | /dev/fd0, /dev/fd1 등 |
CD-ROM 및 DVD | /dev/cdrom, /dev/dvd, /dev/sr0, /dev/hdc, /dev/sdb 등 |
IDE HDD | /dev/hda1, /dev/hdb1 등 |
USB Memory, SCSI HDD, S-ATA HDD | /dev/sda, /dev/sdb1 등 |
사용 예
예 1
- 현재 마운트된 목록 출력
# uname | more
더보기
sysfs on /sys type sysfs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
proc on /proc type proc (rw,nosuid,nodev,noexec,relatime)
devtmpfs on /dev type devtmpfs (rw,nosuid,seclabel,size=914608k,nr_inodes=228652,mode=755)
securityfs on /sys/kernel/security type securityfs (rw,nosuid,nodev,noexec,relatime)
tmpfs on /dev/shm type tmpfs (rw,nosuid,nodev,seclabel)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nosuid,noexec,relatime,seclabel,gid=5,mode=620,ptmxmode=000)
tmpfs on /run type tmpfs (rw,nosuid,nodev,seclabel,mode=755)
tmpfs on /sys/fs/cgroup type tmpfs (ro,nosuid,nodev,noexec,seclabel,mode=755)
cgroup on /sys/fs/cgroup/systemd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xattr,release_agent=/usr/
lib/systemd/systemd-cgroups-agent,name=systemd)
pstore on /sys/fs/pstore type pstore (rw,nosuid,nodev,noexec,relatime)
cgroup on /sys/fs/cgroup/net_cls,net_prio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net_prio,net_cls
)
cgroup on /sys/fs/cgroup/cpu,cpuacct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cpuacct,cpu)
cgroup on /sys/fs/cgroup/perf_event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perf_event)
cgroup on /sys/fs/cgroup/freezer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freezer)
cgroup on /sys/fs/cgroup/hugetlb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hugetlb)
cgroup on /sys/fs/cgroup/cpuset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cpuset)
cgroup on /sys/fs/cgroup/devices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devices)
cgroup on /sys/fs/cgroup/blkio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blkio)
cgroup on /sys/fs/cgroup/pids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pids)
cgroup on /sys/fs/cgroup/memory type cgroup (rw,nosuid,nodev,noexec,relatime,seclabel,memory)
configfs on /sys/kernel/config type configfs (rw,relatime)
예 2
- 파일 시스템이 ext4인 /dev/sdb1을 /mnt 디렉터리에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 mount -t ext4 -o ro /dev/sdb1 /mnt
예 3
- CentOS6-4-i386.bin-DVD1.iso 라는 CD 이미지 파일을 읽기 전용 및 루프백 장치로 /media 디렉터리로 마운트
# mount -t iso9660 -o ro,loop /root/CentOS6-4-i386.bin-DVD1.iso /media
예 4
- 삼바로 공유된 192.168.4.80의 data 디렉터리를 /net으로 마운트
# mount -t cifs -o username=administrator,password='1234' //192.168.4.70/data /net
예 5
- /raiddata 라는 파티션의 파일의 내용을 보더라도 access time 을 갱신하지 않도록 함.
# mount -o noatime /raiddata
예 6
- LABEL이 /home으로 설정된 파티션을 마운트
- /etc/fstab에 관련 내용이 등록되어 있어야 함.
# mount LABEL=/home
umount
- '언마운트(Unmount)'의 약자
-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시켜주는 명령
- 특히 CD-ROM이나 DVD-ROM이 마운트된 상태에서 이 명령을 사용하지 않으면 드라이브 안에 들어있는 디스크를 꺼낼 수 없음.
- Floppy, USB 메모리 등의 보조기억장치 사용 후에는 반드시 이 명령을 사용한 뒤에 제거해야 데이터의 손실이 없음.
사용법
# umount [option] [디바이스명 or 마운트된_디바이스명]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a | /etc/fstab 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옵션 |
-t fs_type | 언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 |
사용 예
예 1
- /media에 마운트된 장치를 언마운트
# umount /media
예 2
- /dev/sdb1 장치를 언마운트
# umount /dev/sdb1
예 3
- 파일 시스템이 iso9660으로 마운트된 것들을 모두 언마운트
# umount -a -t iso9660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System Softwar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fsck (fsck.ext2, fsck.ext3, fsck.ext4, fsck.xfs) (0) | 2022.03.08 |
---|---|
[리눅스 명령어] mke2fs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mkfs (mkfs.ext2, mkfs.ext3, mkfs.ext4)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fdisk (0) | 2022.03.08 |
[리눅스 명령어] umask (0) | 2022.03.07 |
[리눅스 명령어] chgrp (0) | 2022.03.07 |
[리눅스 명령어] chown (0) | 2022.03.07 |
[리눅스 명령어] vi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