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7. 정보사회와 보안 / 개인 정보 보호
정보사회와 보안
- 개념
- 정보가 원동력이 되는 사회
- 능률과 생산성이 증대
- 새로운 인간관계 문화 형성
- 시간과 공간제약 극복
- 상품의 생명력이 짧아짐.
- 다 품종 소량 생산 시스템으로 변화
정보사회의 부작용
- 정보의 과다로 인한 혼란과 이에 따른 계층간의 정보차이 발생
- 정보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범죄
- 개인 정보 노출
- ★ VDT 증후군
- 장시간 모니터를 보면서 생겨나는 증상 (불안감)
- 비인간화
- 현실 도피
- 사회적 혼란 초래
- 테크노스트레스
- 정보 소외 현상
- 정보 이용 기회의 불균등
저작권법
-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에 대한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서 관련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함.
- ★ 저작인접권
- 실연자
- 실연/복제물에 대한 성명 표시권
- 동일성 유지권
- 복제권
- 배포권
- 대여권
- 공연권
- 방송권
- 전송권
- 음반 제작자
- 복제권
- 대여권
- 전송권
- 배포권
- 방송 사업자
- 방송 복제권
- 동시 중계권
- 공연권
- 실연자
저작권 보호기간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
- 시작일
- 사망일 또는 공표한 날 다음해 1월1일 부터
- 저작재산권은 저작자의 사망후 70년간 존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공동저작물
- 마지막으로 사망한 자를 기준으로 하여 70년간 존속함.
- 무명 또는 이명 저작물
- 공표된 시점을 기준으로 70년간 존속함.
보안 위협 형태
- 스푸핑
- 웹사이트 구축 > 정보를 빼냄
- 스니핑
- 패킷을 엿보면서 아이디, 패스워드 정보를 빼냄.
- 스파이웨어
- 사용자 동의 없이 사용자 정보를 수집
- 혹스
- Hoax
- 악성코드인 것처럼 가장
- DDoS
- 여러 대 컴퓨터가 동시에 특정 사이트를 공격함.
- 웜
- Worm
-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신을 복제
- 시스템 부하를 일으켜 시스템이 다운되는 현상
- 메모리 해킹
- 메모리(RAM)에 있는 데이터를 위조/변조하는 해킹
- 스미싱
-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
- 쿠폰, 초대장 등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수신자가 클릭하면 악성 코드가 설치되어 금융 정보를 빼내는 행위
- 백도어
- 보안이 제거된 비밀 통로
- 파밍
- 허위 사이트로 유도하여 금융정보를 빼내는 행위
- 눈속임
- Spoof
- 정상인 것처럼 속임수를 사용
- 피싱
- 가짜 이메일을 보내고 개인금융정보를 빼내는 행위
- 가로막기
- 데이터의 정상적인 전달을 방해
- 가용성을 저해
- 가로채기
- 데이터 전송 중 몰래보거나 도청
- 기밀성을 저해
- 수정
- 전송중인 원래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바꾸는 행위
- 위조
- 다른 곳에서 정보를 보낸 것처럼 꾸미는 행위
보안 요건
- 기밀성
- 정보와 자원은 허가된 사용자만 사용
- 인증
- 정보를 보낸 사람의 신원 확인
- 무결성
- 허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 부인 방지
-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사실의 증거 제공
- 가용성
- 허가된 사용자는 언제든지 사용 가능
방화벽
-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막아줌.
- 재부 자산 보호
- 역 추적 기능이 있어 외부 침입자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음.
- 내부 해킹은 못 막음. (단점)
암호화
- 지정한 수신자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도록 변환하는 것
- 도청, 부정 접근 등의 위험 대비
-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
- 비밀키
-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 대표적으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가 있음.
- 동일한 키로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 속도가 빠름.
- 알고리즘이 단순함.
- 크기가 작음.
-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짐.
- 공개키
-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 암호화할 때는 공개키, 복호화할 때는 비밀키로 함.
- 대표적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가 있음.
- 키의 분배가 쉬움.
-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음.
- 속도가 느림.
- 알고리즘이 복잡함.
- 파일 크기가 큼.
- 비밀키
정보 보안 기법
- 침입 탐지
- 시스템에 허가되지 않은 침입을 알아내는 시스템
- 전자 인증
- 정보를 보낸 사람의 신원 확인
- 아이디/패스워드
- 생체 인식
- 아이핀
- 공인 인증서
- 정보를 보낸 사람의 신원 확인
- 워터 마킹 시스템
- 디지털 저작물에 사람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저작자의 정보를 삽입.
보안 프로토콜
- SET
- 신용카드를 안전하게 거래
- SEA
- W3C에서 제작
- 전자 서명할 때 사용
- 암호화
- SSL
- 넷스케이프사의 웹 보안 프로토콜
- SHTTP
- HTTP에 보안 요소 첨가
컴퓨터 범죄 유형
-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 컴퓨터를 이용한 사기
- 시스템 해킹
- 개인 신용 정보 유출
- 음란물 유통 및 배포
- 바이러스 제작 유포
컴퓨터 범죄 예방 및 대책
- ★ 백신의 기능 3가지
- 검사
- 치료
- 예방
- 대책
- 보안 관련 프로그램 보급
- 보안 교육 실시
-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
-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자동 업데이트 설정
- 램(RAM)에 상주, 불분명한 이메일은 열어보지 않고 삭제함.
- 중요한 자료는 백업 처리함.
바이러스 종류
- 바이러스 종류
- 파일 바이러스
- 실행 파일 감염
- 예)
- 예루살렘
- CIH
- 클러스터
- 감염된 디스크에서 실행하면 동시에 실행되는 바이러스
- 부트 바이러스
- 부트 섹터를 손상
- 예)
- 브레인
- 미켈란젤로
- 은닉 바이러스
- 메모리(RAM)에 상주하는 바이러스
- 부트/파일
- 파일 바이러스와 부트 바이러스의 특징
- 예)
- Invader
- 에볼라
- 스크립트
- 파일 안에 스크립트를 감염시킴.
- 매크로 바이러스
- 액셀 문서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 예)
- 멜리사
- Laroux
- 폭탄 바이러스
-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실행
- 예)
- 미켈란젤로
- 예루살렘
- CIH
- 다형성
- 실행할 때마다 코드를 변경
- 파일 바이러스
- 공유 폴더의 속성을 숨김으로 해도, 네트워크 감염을 방지할 수 없음.
- '읽기 전용' 으로 해야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있음.
내용 출처 : 2021 워드프로세서 필기 핵심요약정리 (독고리 유튜브)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Certificate > Word Process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로세서 실기 (한글 2020) 단축키 & 시나리오 (0) | 2021.05.15 |
---|---|
워드프로세서 실기 시험 절차 (0) | 2021.05.15 |
[요약] 워드프로세서 실기 시험 대비 (한글 2020) (0) | 2021.05.04 |
[요약] PC 기본 상식 : ICT 신기술 (0) | 2021.04.21 |
[요약] PC 기본 상식 : 정보통신 / 인터넷 (0) | 2021.04.21 |
[요약] PC 기본 상식 : 멀티미디어 (0) | 2021.04.21 |
[요약] PC 기본 상식 : PC 유지보수 (0) | 2021.04.21 |
[요약] PC 기본 상식 : 컴퓨터 시스템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