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큐(Queue)
큐(Queue)
-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의 특징을 갖는 자료구조
- 큐는 양쪽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 한쪽에서는 삽입만 진행되고, 다른 쪽에서는 추출만 진행된다.
- 큐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enQueue(인큐)라고 하며,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deQueue(데큐)라고 한다.
- 큐의 중요한 용어로 front(머리)와 rear(꼬리)가 있다.
- 머리는 저장된 데이터 중 첫 번째 데이터를 가리킨다.
- 꼬리는 저장된 데이터 중 마지막 데이터를 가리킨다.
- 첫 번째 데이터 앞을 front가 가리켜야 한다.
데이터 삽입 : enQueue
데이터 추출 : deQueue
큐의 간단 구현
- 큐는 배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 큐는 초기에 크기를 지정하고 배열로 생성할 수 있다.
- 큐의 머리와 꼬리를 가리키는 front 와 rear 은 아직 데이터가 없으므로 -1로 초기화한다.
- front 와 rear 가 둘 다 -1이면 초기 상태이고, 큐가 비었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queue = [None, None, None, None, None]
front = rear = -1
데이터 삽입 : enQueue
- 생성한 큐에 요소를 넣으려면 우선 rear(꼬리)를 1 증가시킨 후, rear 위치에 데이터를 넣는다.
queue = [None, None, None, None, None]
front = rear = -1
rear += 1
queue[rear] = "화사"
rear += 1
queue[rear] = "솔라"
rear += 1
queue[rear] = "문별"
print("---- 큐 상태 ----")
print('[출구] <-- ', end=' ')
for i in range(0, len(queue), 1) :
print(queue[i], end=' ')
print('<-- [입구]')
더보기
---- 큐 상태 ----
[출구]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 [입구]
데이터 추출 : deQueue
- 데이터가 3개 있는 큐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려면, front를 1 증가시킨 후, front 위치의 데이터를 밖으로 추출하고 front 위치의 데이터는 None으로 만든다.
- 큐는 front와 rear 위치를 조절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꼭 비어있는 위치에 None을 넣지 않아도 된다. (쓰레기값이 들어 있어도 된다.)
queue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front = -1
rear = 2
print("----- 큐 상태 -----")
print ( '[출구] <-- ', end = ' ')
for i in range(0, len(queue), 1) :
print(queue[i], end = ' ')
print ( '<-- [입구] ')
print("-------------------")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print('deQueue --> ', data)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print('deQueue --> ', data)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print('deQueue --> ', data)
print("-------------------")
print("----- 큐 상태 -----")
print ( '[출구] <-- ', end = '')
for i in range(0, len(queue), 1) :
print(queue[i], end = ' ')
print ( '<-- [입구] ')
더보기
----- 큐 상태 -----
[출구]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 [입구]
-------------------
deQueue --> 화사
deQueue --> 솔라
deQueue --> 문별
-------------------
----- 큐 상태 -----
[출구] <-- None None None None None <-- [입구]
큐의 일반 구현
① 큐의 초기화
SIZE = 5
queue = [None for _ in range(SIZE)]
front = rear = -1
② 데이터 삽입
큐가 꽉 찼는지 확인하는 함수
- 데이터를 삽입할 때는 큐가 이미 꽉 찼는지 확인해야 한다.
- rear 값이 '큐 크기-1' 과 같다면 큐가 꽉 찬 상태다.
if (rear값 == 큐크기-1) :
큐가 꽉 찼음.
함수 완성하기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SIZE = 5
queue = ["화사", "솔라", "문별", "휘인", "선미"]
front = -1
rear = 4
print("큐가 꽉 찼는지 여부 ==>", isQueueFull())
더보기
큐가 꽉 찼는지 여부 ==> True
큐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함수
- 먼저 큐가 꽉 찼는지 확인하고, 여유가 있다면 데이터를 삽입한다.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enQueue(data)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Full()) :
print("큐가 꽉 찼습니다.")
return
rear += 1
queue[rear] = data
SIZE = 5
queue = ["화사", "솔라", "문별", "휘인", None]
front = -1
rear = 3
print(queue)
enQueue("선미")
print(queue)
enQueue("태연")
더보기
['화사', '솔라', '문별', '휘인', None]
['화사', '솔라', '문별', '휘인', '선미']
큐가 꽉 찼습니다.
isQueueFull() 함수를 없애고, enQueue() 함수만으로 기능 구현하기
def enQueue(data)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print("큐가 꽉 찼습니다.")
return
rear += 1
queue[rear] = data
SIZE = 5
queue = ["화사", "솔라", "문별", "휘인", None]
front = -1
rear = 3
print(queue)
enQueue("선미")
print(queue)
enQueue("태연")
③ 데이터 추출
-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스택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스택에 데이터가 없는데도 데이터를 추출하려고 시도할 때는 별도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큐가 비었는지 확인하는 함수
- front와 rear의 값이 같으면 큐가 비어있는 상태이다.
if (front값 == rear값) :
큐가 비었음.
함수 완성하기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SIZE = 5
queue = [ None for _ in range(SIZE) ]
front = rear = -1
print("큐가 비었는지 여부 ==>", isQueueEmpty())
더보기
큐가 비었는지 여부 ==> True
큐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함수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deQueue()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return data
SIZE = 5
queue = ["화사", None, None, None, None]
front = -1
rear = 0
print(queue)
retData = deQueue()
print("추출한 데이터 -->", retData)
print(queue)
retData = deQueue()
더보기
['화사', None, None, None, None]
추출한 데이터 --> 화사
[None, None, None, None, None]
큐가 비었습니다.
isQueueEmpty() 함수를 없애고, deQueue() 함수만으로 기능 구현하기
def deQueue()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return data
SIZE = 5
queue = ["화사", None, None, None, None]
front = -1
rear = 0
print(queue)
retData = deQueue()
print("추출한 데이터 -->", retData)
print(queue)
retData = deQueue()
④ 데이터 확인
- 다음에 추출된 데이터를 큐에 그대로 두고 확인만 하는 것을 Peek(픽)이라고 한다.
- front+1 위치의 값을 확인한 후 front 값은 변경 없이 그대로 두는 것이다.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peek()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queue[front+1]
SIZE = 5
queue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front = -1
rear = 2
print(queue)
retData = peek()
print("다음에 추출될 데이터 확인 -->", retData)
print(queue)
더보기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다음에 추출될 데이터 확인 --> 화사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큐 완성
기능 통합 버전
- 앞서 작성한 큐의 데이터 삽입, 추출, 확인을 통합한 코드를 작성해본다.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enQueue(data)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Full()) :
print("큐가 꽉 찼습니다.")
return
rear += 1
queue[rear] = data
def deQueue()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return data
def peek()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queue[front+1]
SIZE = int(input("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
queue = [ None for _ in range(SIZE) ]
front = rear = -1
## 메인 코드 부분 ##
if __name__ == "__main__" :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while (select != 'X' and select != 'x') :
if select=='I' or select =='i' :
data = input("입력할 데이터 ==> ")
enQueue(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if select=='E' or select =='e' :
data = deQueue()
print("추출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if select=='V' or select =='v' :
data = peek()
print("확인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se :
print("입력이 잘못됨")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print("프로그램 종료!")
더보기
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5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화사',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화사', '솔라',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문별
큐 상태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None, '솔라', '문별',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None, None, '문별',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문별
큐 상태 : [None,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큐가 비었습니다.
추출된 데이터 ==> None
큐 상태 : [None,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X
프로그램 종료!
기능 통합 버전 개선
- 앞서 작성한 큐는 잘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 deQueue를 하면 큐의 앞쪽은 계속 비워지지만 다시 사용하지는 않는다.
- 크기가 5칸인 큐는 초기 상태에서 front와 rear가 모두 -1을 가리키다 데이터를 5개 삽입하면 여유 공간이 없어 더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다.
- 이 상태에서 두 번 deQueue하면 앞의 두 요소가 추출되어 앞쪽에 여유 공간이 2칸 생겨도 더 이상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는다.
- 한 번 큐가 꽉 차면 rear가 '큐 크기-1'로 고정되고, 앞쪽에 여유 공간이 생겨도 rear 값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앞쪽 공간을 사용할 수 없다.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큐 데이터를 앞으로 한 칸 당긴 후 삽입하면 된다.
if (rear값 != 큐크기-1) :
큐가 꽉 차지 않았음.
elif (rear값 == 큐크기-1) and (front == -1) :
큐가 꽉 찼음.
else :
데이터를 앞으로 당기면 큐가 꽉 차지 않음.
① rear ≠ 큐 크기-1인 경우
- 현재 rear 값은 2이고, '큐 크기-1'의 값은 4이므로, 두 값이 같지 않아 rear 뒤에 여유가 있는 상태이다.
- 큐가 꽉 차지 않았다는 의미의 False를 반환한다.
② rear = 큐 크기-1, front = -1인 경우
- rear 가 '큐 크기-1' 값인 4와 같고, front도 맨 앞인 -1이라면 더 이상 공간이 없다.
- 큐가 꽉 찼다는 의미의 True를 반환한다.
③ rear = 큐 크기-1, front ≠ -1인 경우
- rear 가 '큐 크기-1' 값인 4와 같지만, front가 -1이 아닌 상태이다.
- 즉, 앞에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이다.
- 이때는 다음 순서로 전체를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켜 마지막에 빈칸을 만들어야 한다.
① front+1 위치부터 rear 위치까지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킨다.
② front 값에서 1을 뺀다. (front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
③ rear 값에서 1을 뺀다. (rear를 왼쪽 한 칸 이동한다.)
④ 큐가 꽉 차지 않았다는 의미의 False를 반환한다.
큐가 꽉 찼는지 확인하는 함수 개선 버전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return False
elif (rear == SIZE -1) and (front == -1) :
return True
else :
for i in range(front+1, SIZE) :
queue[i-1] = queue[i]
queue[i] = None
front -= 1
rear -= 1
return False
SIZE = 5
queue = [None, None, "문별", "휘인", "선미"]
front = 1
rear = 4
print("큐가 꽉 찼는지 여부 ==>", isQueueFull())
print("큐 상태 ==> ", queue)
더보기
큐가 꽉 찼는지 여부 ==> False
큐 상태 ==> [None, '문별', '휘인', '선미', None]
개선된 큐 완성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rear != SIZE-1) :
return False
elif (rear == SIZE -1) and (front == -1) :
return True
else :
for i in range(front+1, SIZE) :
queue[i-1] = queue[i]
queue[i] = None
front -= 1
rear -= 1
return False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enQueue(data)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Full()) :
print("큐가 꽉 찼습니다.")
return
rear += 1
queue[rear] = data
def deQueue()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front += 1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return data
def peek()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queue[front+1]
SIZE = int(input("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
queue = [ None for _ in range(SIZE) ]
front = rear = -1
if __name__ == "__main__" :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
while (select != 'X' and select != 'x') :
if select=='I' or select =='i' :
data = input("입력할 데이터 ==> ")
enQueue(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if select=='E' or select =='e' :
data = deQueue()
print("추출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if select=='V' or select =='v' :
data = peek()
print("확인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else :
print("입력이 잘못됨")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
print("프로그램 종료!")
더보기
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5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화사',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화사', '솔라',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문별
큐 상태 : ['화사', '솔라', '문별',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휘인
큐 상태 : ['화사', '솔라', '문별', '휘인',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선미
큐 상태 : ['화사', '솔라', '문별', '휘인', '선미']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None, '솔라', '문별', '휘인', '선미']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None, None, '문별', '휘인', '선미']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태연
큐 상태 : [None, '문별', '휘인', '선미', '태연']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V
확인된 데이터 ==> 문별
큐 상태 : [None, '문별', '휘인', '선미', '태연']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 선택 ==> X
프로그램 종료!
원형 큐
- 앞서 다룬 큐는 한 줄에 차례대로 데이터가 입력·출력되는 순차 큐(Sequential Queue)이다.
- 이보다 좀 더 효율적인 원으로 구성된 원형 큐(Circular Queue, 환형 큐)를 사용할 수 있다.
- 실제로 큐를 구현할 때는 순차 큐보다 원형 큐를 더 많이 사용한다.
- 원형 큐는 처음과 끝이 연결된 구조로, 순차 큐처럼 배열로 구현하되 큐의 끝에 다다르면 다시 처음으로 이어지도록 처리하면 된다.
- 크기가 10만 개인 순차 큐의 앞쪽은 일부 비어 있지만, rear 값이 '큐 크기-1'인 상태를 생각해보자.
- 데이터를 삽입하는 동작 자체는 문제가 없으나, 데이터를 1개 삽입하려고 1단계에서 무료 99997회 이동해야 한다.
- 이렇게 무리하게 일어나는 작업을 오버헤드(Overhead)라고 하며,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 이 순차 큐를 구부려서 끝을 이은 원형 큐는, 앞쪽 일부만 제외하고 데이터가 꽉 찬 상태이더라도 처음과 끝이 이어졌으므로 rear를 다시 처음인 0으로 이동시킨 후, 그 자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간단히 끝난다.
- 순차 큐와 달리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원형 큐의 원리
원형 큐 초기화
- 순차 큐처럼 배열을 사용하되, 순차 큐와 달리 0번 칸 앞쪽이 -1이 아니므로 초깃값을 둘 다 0으로 지정해서 초기화한다.
CircularQueue = [None, None, None, None, None]
front = rear = 0
원형 큐가 빈 경우와 꽉 찬 경우
- 원형 큐가 비었는지 여부는 순차 큐가 비었는지 여부와 같다.
- 둘 다 front와 rear가 동일하면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if (front값 == rear값) :
큐가 비었음.
- 반대로 rear+1과 front가 같은 경우에 원형 큐가 꽉 찬 것으로 처리된다.
if ((rear값+1) % 5 == front값) :
큐가 꽉 찼음.
- 순차 큐와 다른 원형 큐의 특징은 전체 크기에서 한 칸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 모든 칸을 사용할 경우, front와 rear가 같게 되어 큐가 비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원형 큐의 데이터 삽입과 추출
- 원형 큐에서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순차 큐와 큰 차이가 없다.
- 하지만, 마지막 칸 다음은 다시 0이므로 rear의 다음 칸을 계산하려면 rear+1 값을 큐 크기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처리한다.
if (큐가 꽉 찼음) :
return
rear = (rear+1) % 큐크기
queue[rear] = item
- 원형 큐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도 순차 큐와 큰 차이가 없다.
- 하지만, 마지막 칸 다음은 다시 0이므로 front 다음 칸을 계산하려면 front+1 값을 큐 크기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처리한다.
if (큐가 비었음) :
return
front = (front+1) % 큐크기
데이터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프로그램 구현
- 순차 큐와 비교하여 isQueueFull() 함수가 다르고, 기타 함수에서는 다음 칸을 계산할 때 (현재 위치+1)을 큐 크기로 나누는 것이 다르다.
def isQueueFull()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 (rear + 1) % SIZE == front)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isQueueEmpty()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front == rear)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enQueue(data)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Full()) :
print("큐가 꽉 찼습니다.")
return
rear = (rear + 1) % SIZE
queue[rear] = data
def deQueue()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front = (front + 1) % SIZE
data = queue[front]
queue[front] = None
return data
def peek() :
global SIZE, queue, front, rear
if (isQueueEmpty()) :
print("큐가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queue[(front + 1) % SIZE]
SIZE = int(input("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
queue = [ None for _ in range(SIZE) ]
front = rear = 0
if __name__ == "__main__" :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while (select != 'X' and select != 'x') :
if select=='I' or select =='i' :
data = input("입력할 데이터 ==> ")
enQueue(data)
print("큐 상태 : ", queue)
print("front : ", front, ", rear : ", rear)
elif select=='E' or select =='e' :
data = deQueue()
print("추출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print("front : ", front, ", rear : ", rear)
elif select=='V' or select =='v' :
data = peek()
print("확인된 데이터 ==> ", data)
print("큐 상태 : ", queue)
print("front : ", front, ", rear : ", rear)
else :
print("입력이 잘못됨")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print("프로그램 종료!")
더보기
큐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5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None, '화사', None, None, None]
front : 0 , rear : 1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None, '화사', '솔라', None, None]
front : 0 , rear : 2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문별
큐 상태 : [None, '화사', '솔라', '문별', None]
front : 0 , rear : 3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휘인
큐 상태 : [None, '화사', '솔라', '문별', '휘인']
front : 0 , rear : 4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화사
큐 상태 : [None, None, '솔라', '문별', '휘인']
front : 1 , rear : 4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태연
큐 상태 : ['태연', None, '솔라', '문별', '휘인']
front : 1 , rear : 0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V
확인된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태연', None, '솔라', '문별', '휘인']
front : 1 , rear : 0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솔라
큐 상태 : ['태연', None, None, '문별', '휘인']
front : 2 , rear : 0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X
프로그램 종료!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Computer Science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정렬(Sort) :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퀵 정렬 (0) | 2022.06.28 |
---|---|
[Python] 재귀 호출(Recursion) (0) | 2022.06.05 |
[Python] 그래프(Graph) (0) | 2022.06.04 |
[Python] 이진 트리(Binary Tree) (0) | 2022.06.04 |
[Python] 스택(Stack) (0) | 2022.05.30 |
[Python]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 (0) | 2022.04.21 |
[Python]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0) | 2022.04.21 |
[Python] 선형 리스트(Linear List)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