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공부 블로그 🧑🏻‍💻
728x90
728x170

수학 계산

  • 넘파이와 판다스 라이브러리는 과학 계산을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 넘파이는 ndarray 객체의 요소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도록 강력한 기능을 가진 많은 함수를 제공한다.
  • 넘파이판다스는 같은 플랫폼에서 설계되었으므로 넘파이의 함수들을 판다스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판다스에서는 이러한 함수들을 사용해 메타 데이터를 제외한 시리즈와 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에서 수학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다.

 

통계 함수

  • 통계 함수에는 min(), max(), std(), var(), median(), count(), sum(), cumsum(), count(), prod() 등의 함수 외에도 pct_change(), cov(), corr(), rank() 함수가 있다.

 

퍼센트 변화율

  • 시리즈와 데이터프레임에서 퍼센트 변화율(Percent Change)을 계산하기 전 pct_change() fill_method 인수를 이용해 NANull 값을 채운다.
  • 다음 예제에서는 주어진 수의 기간에 대한 퍼센트 변화율을 계산하기 위해 pct_change() 메소드를 적용한다.
>>> ser = pd.Series([1, 2, 3, 4, 5, 6])
>>> ser
0    1
1    2
2    3
3    4
4    5
5    6
dtype: int64

>>> ser.pct_change()
0         NaN
1    1.000000
2    0.500000
3    0.333333
4    0.250000
5    0.200000
dtype: float64

 

  • 다음 예제에서 periods의 기본값은 1이다.
  • ser 객체에 pct_change() 메소드를 적용하면 기준인 인덱스 0은 NaN이다.
  • 인덱스 1 값은 ser 객체의 인덱스 0 값의 분모이며 인덱스 1에서 인덱스 0의 값을 뺀 값이 분자 값이다.
    • 이때 분자가 0보다 크거나 같으면 +, 작으면 - 가 된다.
  • periods=3 인수를 전달하여 실행한 후 퍼센트 변화율을 확인해본다.
>>> ser.pct_change(periods=3)
0    NaN
1    NaN
2    NaN
3    3.0
4    1.5
5    1.0
dtype: float64

 

  • 앞 예제에서 periods=3은 이동 주기가 3이라는 뜻으로, ser 객체의 첫 3행이 NaN이 된다.
  • ser 객체에 pct_change()를 적용해 인덱스가 3인 값을 구할 때 분모는 ser 객체의 인덱스 0의 값인 1이다.
  • 분자는 ser 객체의 인덱스 3의 값인 4에서 인덱스 0의 값인 1을 뺀 값, 즉 3이 분자가 된다.
  • 이후 값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 다음 예제에서 df 객체의 퍼센트 변화율을 구할 때 axis에 기본값과 columns 인수를 각각 전달한다.
  • 인수 index의 값은 이산화탄소와 물의 화학식으로 첨자는 LaTex 표기법을 사용하였다.
df = pd.DataFrame( {'2021': [0.12, 0.24], '2022': [0.14, 0.26], '2023': [0.10, 0.22]}, index=['CO$_2$', 'H$_2$O'])
df

 

df.pct_change()

 

df.pct_change(axis='columns')

 

공분산

  • Series.cov() 함수는 시리즈 사이에서 손실 값을 제외한 공분산(Covariance)을 계산한다.
    • 공분산 : 확률론과 통계학 분야에서 확률 변수 2개의 상관 정도를 나타내는 값
>>> ser1 = pd.Series(np.random.randn(100))
>>> ser2 = pd.Series(np.random.randn(100))
>>> ser1.cov(ser2)
-0.02191981217711203

 

  • DataFrame.cov() 함수는 데이터프레임 사이에서손실 값을 제외하고 쌍(Pair) 단위의 공분산을 계산한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1000, 3), columns=['a', 'b', 'c'])
df.cov()

 

  • DataFrame.cov()는 손실 값, null 값을 제외하고 열의 공분산 쌍을 구한다.
  • 여기서 옵션인 min_periods 키워드는 유효한 결과값을 얻기 위해 열의 쌍당 요구되는 최소수의 관찰치를 뜻한다.
    • 이것은 손실 값이 존재하는 데이터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적용하는 인수이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10, 3), columns=['a', 'b', 'c'])
df.loc[df.index[:3], 'a'] = np.nan
df.loc[df.index[3:6], 'b'] = np.nan
df.cov()

 

 

  • 객체 df 에는 a 열에 3개, b 열에 3개의 손실 값이 존재한다.
  • 손실 값이 공분산의 결과에 반영되지 않아 타당한 결과를 얻기 위해 각 열의 쌍에 대해 최소수인 관찰 값, 즉 min_periods 값을 인수로 전달해야 한다.
  • 여기에서 총 관찰 수는 10개이고, 손실 값 수는 5개이다.
  • 따라서 관찰 값의 최소수는 총 관찰 수 10개에서 손실 값 6개를 뺀 4개이므로, 이보다 큰 값에서 정한다.

 

df.cov(min_periods=5)

 

상관 관계

  •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두 변량 사이의 상관 관계 정도를 의미하며, corr() 메소드로 상관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 판다스에서는 corr() 메소드의 인수로 사용할 수 있는 몇몇 method를 제공한다.
method 기능
pearson(기본) 표준 상관 계수
kendall Kendall Tau 순위 상관 계수
spearman Spearman 상관 계수

 

  • 상관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df 객체를 생성하고 짝수 행에 손실 값을 할당한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500, 3), columns=['a', 'b', 'c'])
df.iloc[::2] = np.nan
df.head(6)

 

  • df 에서 a 열과 b 열의 상관 계수를 구하고 df 열들의 쌍 단위(Pairwise) 상관 계수를 구한다.
  • method='spearman'순위가 매겨진 두 변수 간 상관 관계를 계산하며, 통계학에서 주로 사용한다.
>>> df['a'].corr(df['b'])
0.038788059323480846

>>> df['a'].corr(df['b'], method='spearman')
0.0036223299572793167

 

df.corr()

 

  • 상관 계수를 계산할 때 수치가 아닌 열들은 제외된다.
  • 따라서 다음처럼 데이터프레임 열들의 쌍 단위에서 상관 계수를 구할 때는 NaN이 적용되지 않는다.
  • 그러므로 min_periods 인수로 타당한 요소를 설정해야 df1에 있는 NaN이 적용된다.
df1 = pd.DataFrame(np.random.randn(20, 3), columns=['a', 'b', 'c'])
df1.loc[df1.index[:5], 'a'] = np.nan
df1.loc[df1.index[5:10], 'b'] = np.nan
df1.corr()

 

df1.corr(min_periods=12)

 

  • corrwith() 메소드는 두 데이터프레임 객체의 행들 또는 열들 사이의 쌍 단위 상관 계수를 구한다.
  • 두 데이터프레임 객체들의 shape 가 다르면 NaN 값을 가진다.
>>> ind = ['a', 'b', 'c', 'd']
>>> col = ['one', 'two', 'three']
>>> df1 = pd.DataFrame(np.random.randn(4, 3), index=ind, columns=col)
>>> df2 = pd.DataFrame(np.random.randn(3, 3), index=ind[:3], columns=col)
>>> df1.corrwith(df2)
one     -0.056902
two     -0.204342
three    0.697355
dtype: float64

>>> df2.corrwith(df1, axis=1)
a   -0.600366
b    0.767147
c    0.871352
d         NaN
dtype: float64

 

데이터 순위

  • rank() 메소드는 시리즈나 데이터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순위(Ranking)을 구한다.
  • 같은 값을 가지는 항목은 기본으로 평균값의 순위를 매긴다.
>>> ser = pd.Series(np.random.randn(5), index=list('abcde'))
>>> ser
a    0.896019
b   -0.191600
c    0.560520
d   -0.866108
e   -0.734665
dtype: float64

>>> ser['d'] = ser['b']
>>> ser.rank()
a    5.0
b    2.5
c    4.0
d    2.5
e    1.0
dtype: float64

 

  • 데이터프레임에 rank() 메소드를 사용하면 행들(axis=0) 또는 열들(axis=1) 중 하나에 대해 순위를 매길 수 있다.
  • NaN 값은 순위에서 제외된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5, 3))
df

 

>>> df[0][:2]
0    2.592567
1   -0.857084
Name: 0, dtype: float64

 

  • 열 2에 df[0][:2] 를 동적 할당하고 순위를 구한다.
df[2] = df[0][:2]
df

 

df.rank(1)

 

 

윈도우 함수

  • 판다스는 데이터에서 window rolling 기간을 이동하는 통계 자료를 계산할 수 있는 다양한 윈도우 함수를 제공한다.
    • 윈도우 : 주어진 행과 떨어진 특정 행인 두 행 사이의 수
  • 일반적으로 윈도우 함수들은 시간 순서를 가지는 시계열 데이터에서 평균값을 계산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 변화하는 트랜드를 윈도우 함수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count(), sum(), mean(), median(), corr(), var(), cov(), std(), skew() 및 kurt() 가 윈도우 함수에 속한다.
  • 판다스는 윈도우 계산을 위한 rolling() 메소드, 윈도우 확장 변환을 위한 expanding() 매소드, 지수 가중 이동 평균 계산을 ewm() 메소드를 제공한다.
    • rolling()expanding() 메소드는 DataFrameGroupBy 객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 s = pd.Series(np.random.randn(1000), index=pd.date_range('1/1/2021', periods=1000))
>>> s
2021-01-01   -0.261559
2021-01-02    0.405811
2021-01-03    0.324935
2021-01-04   -1.937089
2021-01-05    0.969919
                ...   
2023-09-23   -0.531175
2023-09-24   -0.176443
2023-09-25   -0.409004
2023-09-26   -0.631045
2023-09-27    0.780370
Freq: D, Length: 1000, dtype: float64

 

  • 시리즈 객체 s에 누적 합을 계산하는 cumsum() 함수를 적용한다.
>>> ser = s.cumsum()
>>> ser
2021-01-01    -0.261559
2021-01-02     0.144253
2021-01-03     0.469188
2021-01-04    -1.467901
2021-01-05    -0.497982
                ...    
2023-09-23   -33.698439
2023-09-24   -33.874882
2023-09-25   -34.283886
2023-09-26   -34.914931
2023-09-27   -34.134561
Freq: D, Length: 1000, dtype: float64

 

  • 시리즈 객체 s에 rolling() 메소드를 적용하고 인수 window=60 을 전달한다.
  • Rolling 객체에 속한 여러 메소드와 속성은 roll. 을 타이핑한 후 <Tab> 키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메소드들은 모두 호출할 수 있다.

 

  • 다음 예제에서는 1천 개 행으로 이루어진 s 객체 데이터에서 첫 번째 60개 행의 평균값을 roll, mean() 메소드로 계산한다.
  • 결과 데이터의 60번째 행에 첫 번째 연산 결과를 나타내고 0부터 59번째 행은 NaN 으로 처리한다.
  • 또한 전체 데이터의 2번째 행부터 61번째 행까지 평균값을 연산하는 결과를 61번째 행에 나타낸다.
  • 이러한 방법으로 1천 개 행의 변화하는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 roll = s.rolling(window=60)
>>> roll
Rolling [window=60,center=False,axis=0]

>>> type(roll)
pandas.core.window.rolling.Rolling

>>> roll.mean()
2021-01-01         NaN
2021-01-02         NaN
2021-01-03         NaN
2021-01-04         NaN
2021-01-05         NaN
                ...   
2023-09-23   -0.033356
2023-09-24   -0.031705
2023-09-25   -0.033527
2023-09-26   -0.047816
2023-09-27    0.005777
Freq: D, Length: 1000, dtype: float64

 

  • rolling() 메소드를 실행하면 라벨은 기본으로 윈도우의 오른쪽 테두리에 설정된다.
  • center=True 로 설정하면 윈도우의 중심으로 라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 Rolling 객체는 통계를 계산하는 다음과 같은 메소드를 지원한다.
메소드 종류 기능
count() null 이 아닌 관찰치의 수
sum() 값들의 합
mean() 값들의 평균
median() 중앙값
min() 최솟값
max() 최댓값
std() Bessel 보정의 표본 표준 편차
var() 편향되지 않는(Unbiased) 분산
skew() 표본 왜도(Sample Skewness)
kurt() 표본 첨도(Sample Kurtosis)
quantile() 표본 분위수(Sample Quantile)로 %로 표기되는 값
apply() 일반적인 적용
cov() 편향되지 않는 공분산 (binary)
corr() 상관 계수 (binary)

 

  • 시리즈에 cumsum() 메소드를 이용해 누적 합을 계산한 ser 을 그래프로 그려본다.
ser.plot(style='k')

 

  • 이번에는 데이터프레임 객체에 cumsum() 메소드를 적용하고, 이 결과에 window=60 rolling() 메소드 연산 후 sum() 연산을 실행한다.
  • 그리고 결과 데이터 3개 열의 그래프를 최종 반환한다.
  • 먼저 다음과 같이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한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1000, 3),
index=pd.date_range('1/1/2021', periods=1000), columns=['A', 'B', 'C'])
df

 

  • 데이터프레임 객체 df에 cumsum() 메소드를 적용해 열 방향 누적 합을 구한다.
dfc = df.cumsum()
dfc

 

  • 데이터프레임 객체 dfc에 window=60 rolling() 메소드 그리고 sum() 함수를 적용한다.
dfc.rolling(window=60).sum()

 

  • 최종 연산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dfc.rolling(window=60).sum().plot(subplots=True)

 

  • 이번에는 이동 합계를 구하기 위한 시리즈 객체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 ser = pd.Series([1, 2, 3, 4, 5])
>>> ser
0    1
1    2
2    3
3    4
4    5
dtype: int64

 

  • window=3 인 이동 합계를 구한다.
  • center=True 를 입력하면 윈도우 중심에서 라벨을 설정한다.
    • 이것은 NaN 값을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 배치한다는 의미로, 윈도우가 3이면 맨 처음과 마지막 값이 NaN 이 된다.
>>> ser.rolling(3).sum()
0     NaN
1     NaN
2     6.0
3     9.0
4    12.0
dtype: float64

>>> ser.rolling(3, center=True).sum()
0     NaN
1     6.0
2     9.0
3    12.0
4     NaN
dtype: float64

 

시간 인식 이동

  • 시간 인식 이동(Time-Aware Rolling)rolling() 메소드에 오프셋이나 이에 동등한 것을 전달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크기의 윈도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이렇게 하면 지정한 시간 구간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선행 값들을 포함한다.
  • 시간 인식 이동을 예제를 통해 확인해보기 위해 우선 데이터프레임 객체 dfc를 생성한다.
dft = pd.DataFrame({'val': [0, 1, 2, np.nan, 4]},
                    index=pd.date_range('20210101 09:00:00', periods=5, freq='s'))
dft

 

  • 위의 연산 결과는 규치적인 도수 인덱스를 가진다.
  • 다음과 같이 윈도우 매개 변수로 정수를 사용하는 것은 윈도우 도수에 따라 이동시킨다는 의미이다.
dft.rolling(2).sum()

 

  • 윈도우가 2이고, NaN이 1개이므로 sum() 연산으로 유효한 값을 얻기 위해 min_periods 를 1로 설정했다.
dft.rolling(2, min_periods=1).sum()

 

  • window 함수에 전달한 오프셋 '2s'는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 윈도우를 2초 단위로 나누어 계산한다는 뜻이다.
  • 이러한 방식으로 오프셋을 입력하는 것은 이동 도수를 더 직관적인 규격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dft.rolling('2s').sum()

 

  • 다음 예제에서는 단조(Monotonic) 인덱스를 가지는 dft1의 이동 합계를 계산한다.
    • 단조는 변화가 없거나 일정함을 의미한다.
dft1 = pd.DataFrame({'val': [0, 1, 2, np.nan, 4]},
index=pd.Index([pd.Timestamp('20210101 09:00:00'),
pd.Timestamp('20210101 09:00:01'),
pd.Timestamp('20210101 09:00:02'),
pd.Timestamp('20210101 09:00:03'),
pd.Timestamp('20210101 09:00:04')], name='ha'))
dft1

 

dft1.rolling(2).sum()

 

  • 오프셋에 시간 규격을 설정하면 데이터에서 변화하는 윈도우를 생성한다.
dft1.rolling('2s').sum()

 

  • on 매개 변수를 전달하면 데이터프레임 열에 윈도우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dft2 = dft1.reset_index()
dft2

 

dft2.rolling('2s', on='ha').sum()

 

이진 윈도우 함수

  • cov()corr() 함수는 2개의 시리즈 조합이나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 조합 또는 2개의 데이터프레임 조합에서 이동 윈도우 통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연산을 수행한다.
    • 시리즈와 시리즈 : 쌍의 통계를 계산한다.
    •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 : 데이터프레임에 시리즈를 전달해 데이터프레임 각 열의 통계를 계산하고 데이터프레임을 반환한다.
    • 데이터프레임과 데이터프레임
      • 열 이름에 매칭하는 통계를 계산하고 기본으로 데이터프레임을 반환한다.
      • 키워드 인수 pairwise=True 를 전달하면 각 열의 쌍에 대한 통계를 계산하고 멀티 인덱스로 이루어진 데이터프레임을 반환한다.
  • 앞 3가지 연산을 예제를 통해 확인해본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500, 3),
index=pd.date_range('1/1/2021', periods=500), columns=['A', 'B', 'C'])
dfc = df.cumsum()
dfc.head()

 

  • df1 객체를 생성하고 dfc 객체에서 20개 행을 df1 객체에 할당한다.
df1 = dfc[:20]
df1.head()

 

  • df1 객체에 window=5 인수를 갖는 rolling() 함수를 적용하고 df1['B'] 와의 상관 관계를 구한다.
df1.rolling(window=5).corr(df1['B'])

 

쌍 단위의 공분산과 상관 관계를 이동 윈도우로 계산하기

  • 금융 데이터 분석 분야 등에서는 시계열 모음의 공분산상관 관계 매트릭스 계산을 이용한다.
    • 상관 관계 매트릭스 : 변수 사이에서 상관 계수를 나타내는 테이블
  • 이동 윈도우 공분산과 상관 관계는 pairwise 키워드 인수를 전달해 계산할 수 있다.
  • 데이터프레임을 입력하면 멀티 인덱스로 이루어진 데이터프레임이 결과로 나타난다.
  • 이때 인덱스는 날짜이며, 단일 데이터프레임에서 pairwise 인수는 생략할 수 있다.

 

  • 다음 예제에서는 df 객체의 B와 C 열 요소에 rolling() 함수를 적용하고 A와 B열 요소의 공분산을 구한다.
cvar = (df[['B', 'C']].rolling(window=50).cov(df[['A', 'B']], pairwise=True))
cvar

 

  • loc 속성으로 2022년 5월 13일부터 2022년 5월 15일까지의 요소로 이루어진 데이터프레임 객체를 구한다.
cvar.loc['2022-05-13':]

 

  • 다음으로 df 객체에 rolling() 함수를 적용한 후 상관 관계를 구한다.
  • 이 결과에 loc 메소드를 적용해 2022년 5월 13일부터 2022년 5월 15일까지 요소로 이루어진 데이터프레임 객체를 구한다.
dfr = df.rolling(window=50).corr()
dfr.loc['2022-05-13':]

 

  • 재형성과 인덱스를 이용하면 2개 열 사이에서 시계열의 상관 관계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 예제에서는 unstack() 메소드를 적용한다.
dfr.unstack().tail(3)

 

  • df.unstack() 객체에서 요소가 ('A', 'C')인 객체를 구하고, 마지막 3행을 반환하는 객체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 dfr.unstack()[('A', 'C')]
2021-01-01         NaN
2021-01-02         NaN
2021-01-03         NaN
2021-01-04         NaN
2021-01-05         NaN
                ...   
2022-05-11   -0.015247
2022-05-12   -0.028359
2022-05-13   -0.024734
2022-05-14   -0.035496
2022-05-15   -0.051418
Name: (A, C), Length: 500, dtype: float64

>>> dfr.unstack()[('A', 'C')].tail(3)
2022-05-13   -0.024734
2022-05-14   -0.035496
2022-05-15   -0.051418
Name: (A, C), dtype: float64

 

  • 시리즈 객체 dfr.unstack()[('A', 'C')] 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dfr.unstack()[('A', 'C')].plot()

 

 

집계 연산

  • Rolling 객체를 생성하면 여러 메소드를 이용해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 이렇게 여러 메소드를 적용하는 데이터 집계는 aggregate()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 Rolling 객체에 aggregate() 메소드를 적용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1000, 3),
index=pd.date_range('1/1/2021', periods=1000), columns=['A', 'B', 'C'])
df

 

>>> rol = df.rolling(window=60, min_periods=1)
>>> rol
Rolling [window=60,min_periods=1,center=False,axis=0]

 

  • 생성한 rol 객체에 aggregate() 메소드를 적용하고 numpy.sum 함수를 인수로 전달하여 연산 결과를 집계한다.
  • 또한 A 열에 연산을 실행하고, A와 C열에 동일하게 연산을 실행한다.
rol.aggregate(np.sum)

 

>>> rol['A'].aggregate(np.sum)
2021-01-01    0.335989
2021-01-02    0.640379
2021-01-03    0.057467
2021-01-04    1.053226
2021-01-05    1.990919
                ...   
2023-09-23    8.433061
2023-09-24    6.484539
2023-09-25    6.387734
2023-09-26    6.094186
2023-09-27    5.838368
Freq: D, Name: A, Length: 1000, dtype: float64

 

rol[['A', 'C']].agg(np.sum)

 

복수의 함수를 적용하기

  • 윈도우가 적용된 시리즈에 집계 연산을 실행하기 위해 함수들을 전달할 수 있다.
  • 이때 결과로 데이터프레임을 반환한다.
rol['A'].agg([np.sum, np.mean, np.std])

 

  • 윈도우가 적용된 데이터프레임의 각 열에 집계 연산을 실행하기 위해 함수들을 전달할 수 있다.
  • 이때 멀티 인덱스를 갖는 집계 결과를 반환한다.
rol[['A', 'C']].agg([np.sum, np.mean])

 

데이터프레임 열들에 여러 함수를 적용하기

  • 데이터프레임 열들에 함수를 딕셔너리로 전달하면 집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 ddof 옵션은 델타 자유도를 설정하며 기본값은 0이다.
    • ddof=1 n-1표준 편차를 계산하라는 의미이다.
rol.agg({'A': np.sum, 'C': lambda x: np.std(x, ddof=1)})

 

  • 문자열로 된 함수 이름을 사용해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 이때 윈도우가 적용된 객체에서 연산을 실행해야 문자열이 유효하다.
rol.agg({'A': 'sum', 'C': 'std'})

 

  • 중첩된 딕셔너리를 전달하면 행에 여러 집계 연산을 지정할 수 있다.
rol.agg({'A': ['sum', 'std'], 'C': ['mean', 'std']})

 

기타 윈도우 적용

확장 윈도우

  • 확장 윈도우(Expanding Window)를 적용하면 해당 시간 시점까지 사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이용해 값을 산출한다.
  • 이때 expanding() 메소드를 이용한다.

 

  • 다음 예제에서는 rolling() 메소드에 df의 전체 요소 수를 설정하고 expanding() 메소드를 적용한다.
  • Rolling 객체에서 사용하는 메소드들을 expanding() 메소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먼저 rolling() 메소드 연산을 실행한 후, expanding() 메소드 연산 결과와 비교해본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100, 3),
                  index=pd.date_range('7/1/2021', periods=100), columns=['A', 'B', 'C'])
df.rolling(window=len(df), min_periods=1).mean()[:5]

 

  • 다음 예제에서는 expanding() 메소드를 사용하여 1개 행 단위로 열 방향 평균을 구한다.
  • min_periods=1은 기본값으로써 첫 행부터 관찰한다는 의미이며 min_periods=2 인 경우 첫 행은 관찰하지 않으므로 NaN으로 처리된다.
>>> df.expanding(min_periods=1)
Expanding [min_periods=1,center=False,axis=0]

 

df.expanding(min_periods=1).mean()[:5]

 

  • 다음 예제에서는 시리즈 객체를 생성해 expanding() 메소드와 cumsum() 메소드를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 ser = pd.Series([1, 2, np.nan, 3, np.nan, 4])
>>> ser.expanding().sum()
0     1.0
1     3.0
2     3.0
3     6.0
4     6.0
5    10.0
dtype: float64

>>> ser.cumsum()
0     1.0
1     3.0
2     NaN
3     6.0
4     NaN
5    10.0
dtype: float64

>>> ser.cumsum().fillna(method='ffill')
0     1.0
1     3.0
2     3.0
3     6.0
4     6.0
5    10.0
dtype: float64

 

  • rolling() 에서는 윈도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expanding() 에서는 윈도우가 변화한다.
  • 예를 들면, 윈도우가 60인 이동 윈도우는 계속 이동하면서 크기가 일정하다.
  • 그러나 확장 윈도우를 mean() 과 함께 연산하는 경우 1행→2행, 1행→3행 등으로 계속 확장하면서 연산한다.
df = pd.DataFrame({'A' : [1, 2, 3, 4, 5, 6, 7]}, index=pd.date_range('7/1/2021', periods=7))
df

 

df.expanding(min_periods=2).mean()

 

df.rolling(window=2).mean()

 

  • 이동 윈도우 통계보다 확장 윈도우 통계가 더 안정적이다.
  • 다음 예제에서 시리즈 객체를 생성한 후, rolling() 메소드와 expanding() 메소드를 이용한 연산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한다.
s = pd.Series(np.random.randn(1000), index=pd.date_range('1/1/2021', periods=1000))
ser = s.cumsum()
rol = ser.rolling(window=60)

 

  • 생성된 시리즈 객체 ser을 그래프로 나타내 비교한다.
rol.mean().plot(style='k--')
ser.expanding().mean().plot(style='k')

 

지수 가중 윈도우

  • rolling(), expanding(), ewm() 메소드를 사용하면 윈도우 객체를 반환한다.
  • ewm() 메소드는 지수적으로 이동하는 윈도우 객체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제공한다.
함수 기능
mean() 지수 가중 이동 평균
var() 지수 가중 이동 분산
std() 지수 가중 이동 표준 편차
corr() 지수 가중 이동 상관 관계
cov() 지수 가중 이동 공분산

 

  • 지수 가중 윈도우의 통계 이론은 내용이 방대하므로 이 페이지에서는 생략하고 평균을 구하는 간단한 연산만 실행하여 이동 윈도우 평균과 비교하는 그래프를 그린다.
ser.ewm(span=20).mean().plot(style='k')
rol.mean().plot(style='k--')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In-depth Study > Pand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데이터의 그룹 연산  (0) 2022.05.30
[Pandas] 데이터 가공  (0) 2022.05.29
[Pandas] 데이터 타입과 입출력  (0) 2022.05.27
[Pandas] 데이터 처리  (0) 2022.05.27
[Pandas] 판다스의 주요 기능  (0) 2022.05.25
[Pandas] 판다스 데이터 구조  (1) 2022.05.24
[Pandas] 판다스(Pandas) 개요  (0) 2022.05.24
⚠️AdBlock이 감지되었습니다. 원할한 페이지 표시를 위해 AdBlock을 꺼주세요.⚠️
starrykss
starrykss
별의 공부 블로그 🧑🏻‍💻


📖 Cont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