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공부 블로그 🧑🏻‍💻
728x90
728x170

세트(Set)

세트(Set)

  • 만 모아 놓은 딕셔너리의 특수한 형태
  • 딕셔너리는 중복되면 안되므로 세트에 들어 있는 값은 항상 유일하다.
  • 세트를 생성하려면 딕셔너리처럼 중괄호({ })를 사용하지만, 콜론(:) 없이 값을 입력한다.
  • 딕셔너리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순서로 저장되지 않는다.

 

예 : 세트 생성하기
mySet1 = {1, 2, 3, 3, 3, 4}
mySet1
결과 보기
{1, 2, 3, 4}
  • 중복된 는 자동으로 하나만 남는다.

 

set() 함수

  •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을 세트로 변경시켜 준다.

 

집합 연산

연산자 사용하기

연산자 설명
& 교집합
| 합집합
- 차집합
^ 대칭 차집합

 

예 : 연산자를 사용하여 집합 연산 수행하기
mySet1 = {1, 2, 3, 4, 5}
mySet2 = {4, 5, 6, 7}
mySet1 & mySet2 # 교집합
mySet1 | mySet2 # 합집합
mySet1 - mySet2 # 차집합
mySet1 ^ mySet2 # 대칭 차집합
결과 보기
{4, 5}
{1, 2, 3, 4, 5, 6, 7}
{1, 2, 3}
{1, 2, 3, 6, 7}

 

 

함수 사용하기

함수 설명
intersection() 교집합
union() 합집합
difference() 차집합
symmetric_difference() 대칭 차집합

 

예 : 함수를 사용하여 집합 연산 수행하기
mySet1 = {1, 2, 3, 4, 5}
mySet2 = {4, 5, 6, 7}
mySet1.intersection(mySet2) # 교집합
mySet1.union(mySet2) # 합집합
mySet1.difference(mySet2) # 차집합
mySet1.symmetric_difference(mySet2) # 대칭 차집합
결과 보기
{4, 5}
{1, 2, 3, 4, 5, 6, 7}
{1, 2, 3}
{1, 2, 3, 6, 7}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 Contents 📖
세트(Set)세트(Set)set() 함수집합 연산연산자 사용하기함수 사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