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데이터 통신 방식
1. 교환 회선과 전용 회선
- 정보 전송 회선 :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
- 교환 회선 : 정보 전송 회선을 통해 교환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환하는 것
- 전용 회선 : 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정보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직접 전달하는 방식
종류 | 설명 |
교환 회선 | - 정보 전송 시에 교환기를 사용해서 송수신 - 회선 교환 및 축척 교환으로 나누어짐. - 데이터의 양이 적으며 사용자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 |
전용 회선 | - 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점 대 점(일대일)으로 직접적으로 통신 수행 - 사용자는 적지만 전송 할 데이터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 |
2. Point to Point와 Multi Point 개요
-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 송신자 한 명이 한 명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방식 -> Point to Point 방식
- 한 명의 송신자가 여러 명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Multi Point 방식
(1) Point to Point 방식
- 송신자는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1대 1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함.
- 전용 회선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2) Multi Point 방식
- 한 개의 회선을 통해서 여러 명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한 개의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순간에는 어느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해야 하는데, 이것을 위해 폴링(Polling)과 셀렉션(Selection) 방식이 존재함.
- 폴링 : 전송 회선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방법
- 셀렉션 : 수신자가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3. Point to Point와 Muilti Point의 회선 제어 기법
(1) Point to Point 방식과 회선 제어 기법인 컨텐션(Contention)
- 송신자와 수신자가 한번 연결되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송신 요구를 누가 먼저 했는지에 따라 회선 사용권이 결정됨.
(2) Multi Point 방식의 회선 제어 기법인 폴링과 셀렉션 방식
- 폴링(Polling) : 송신자 단말기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물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전송을 허가하는 방법
- 셀렉션(Selection) : 수신자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물어보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송신자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회선 제어 단계
-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회선 제어 단계
① 회선 연결 : 물리적으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회선을 연결
② 링크 확립 : 송신자와 수신자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확인
③ 메시지 전송 :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
④ 링크 단절 : 송신자와 수신자의 링크를 단절
⑤ 회선 절단 : 물리적인 회선을 절단하고 종료
내용 출처 : 이기적 네트워크관리사 1·2급 필기 (임호진, 황성하 공저, 영진닷컴)
'Certificate > Network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0) | 2021.02.24 |
---|---|
13. 다중화(Multiplexing) (0) | 2021.02.17 |
12. 변조 (0) | 2021.02.17 |
12. 전송 매체 (0) | 2021.02.17 |
10. 정보 전송 방식 (0) | 2021.02.17 |
09. 정보 신호 (0) | 2021.01.24 |
08. 토큰 패싱(Token Passing) (0) | 2021.01.19 |
07.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