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의 공부 블로그 🧑🏻‍💻

🗒️ xinetd (3)

728x90
  1. 2022.05.10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텔넷(telnet)

    텔넷(telnet) xinetd Extend inetd 리눅스 커널 2.4 버전부터 슈퍼 데몬인 inetd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접근 제어 방법 inetd : TCP Wrapper 사용 xinetd : 환경 설정 파일을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접근 제어 가능 다음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IP 주소 당 접속 수 제한 시간대별 서비스 제한 DoS 공격에 대비한 설정 xinetd의 구성 /etc/xinetd.conf xinetd 데몬의 전체적인 환경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 이 곳에 설정하면 xinetd 데몬에서 관리하는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준다. /etc/xinetd.d xinetd 데몬에 의해 관리 및 제어되는 서비스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 이 디렉터리 안에 telnet, rlogin, rsh, ..

  2. 2022.03.12 [리눅스 명령어] chkconfig

    chkconfig System V 기반의 init 스크립트 시절에 사용하던 텍스트 기반의 명령행 프로그램 실행 레벨에 따른 서비스의 on/off 설정 리스트를 출력하거나 설정 systemd 기반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System V 기반의 일부 서비스와 xinetd 기반 서비스만 제어 가능함. 사용법 # chkconfig option [service] 주요 옵션 옵션 설명 --list 각 실행 레벨에서의 서비스 설정 상태를 보여줌. --add 서비스 서비스 추가 --del 서비스 서비스 삭제 --level 레벨 서비스 on/off/reset 해당 레벨에서 특정 서비스의 상태 설정 사용 예 예 1 각 실행 레벨에서의 서비스 설정 상태 출력 # chkconfig --list 예 2 network 서비스의 상태..

  3. 2021.02.10 데몬 프로세스 실행 방법

    데몬 프로세스 실행 방법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방식이 존재함. ⓛ standalone 방식 - 보통 부팅 시에 실행되어 해당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 - 웹, 메일 등과 같이 빈번한 요청이 들어오는 서비스의 경우 대부분 이 방식으로 동작함. - 이 방식으로 동작하는 데몬들은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ps 명령으로 확인해보면 항상 동작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② inet 방식 -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이 들어왔을 때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접속 종료 후에는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방식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서비..

728x90